anott
기록
anott
  • 분류 전체보기
    • 오라클
    • SQL
    • 알고리즘
      • 백준저지
      • 프로그래머스
      • SWEA
    • 개발 관련
    • 프론트엔드
      • TypeScript, Next.js
      • React 공식문서 읽기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anott

기록

유데미 기술블로그로 알아보는 테크니컬 라이팅 후기
카테고리 없음

유데미 기술블로그로 알아보는 테크니컬 라이팅 후기

2023. 12. 24. 23:55

글또에 다시 참여하게 되면서 어떻게 글을 작성해야 할지 고민이 생겼다. 기존에는 배운 내용을 정리해서 작성했었는데 이제는 그보다는 더 신경 써서 괜찮은 글을 작성하고 싶었다. 그래서 유데미의 기술블로그로 알아보는 테크니컬 라이팅 (강의 링크) 강의를 듣게 되었다.

 

 

테크니컬 라이팅이란 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특정 목적으로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 라고 한다.

강의에서는 글쓰기 과정을 크게 3단계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1. 작성 계획

독자, 주제 등을 선정하고 일정을 계획하는 단계이다.

강의에서는 주제를 고를 때에는 자료가 많고 사람들이 관심있어하는 내용으로 선정하는 것을 권장했는데 스터디에서 여러 번 발표해 본 입장에서 공감되었다. 조사하기 어려우면 발표준비부터가 고난이었고 나만 관심 있으면 발표할 때 신경 쓰였다. 반면 독자를 먼저 선정하는 것은 생소했다. 스터디할 때는 독자가 항상 정해져 있었고, 블로그에 글을 작성할 때에는 우선순위가 나였기 때문에 한 번도 독자가 누가 될지 고려해 본 적이 없었다. 앞으로는 독자를 선정하여 글을 작성해야겠다.

2. 초안 작성

글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글을 작성할 때에는 명확하고 간결하며 일관되게 작성해야 한다. 초안 작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 단계인 고치기와 이어진다.

강의에서는 글 작성 시 1장부터 꼼꼼하게 작성하는 것과 일단 작성하는 것 이렇게 2가지가 있다고 말했는데, 나는 전자인 편이다. 어떻게 작성할지 목차를 대강 잡고 앞에서부터 작성하는 것이 편하다.

3. 고치기

작성한 글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단계이며, 글 작성의 본질로 전체 글 작성의 40%를 투자해야한다고 한다. 단순하게 맞춤법, 문장 부호만 확인하지 않고 읽을 때 문장이 매끄러운지 확인하는 법도 소개한다. 또한 검토할 때 자가 검토 시에는 글 작성 후 시간 간격을 두고 검토하는 것을 권장한다.

나는 글을 작성하고 나면 고치는 데에는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편은 아니었는데 강의를 듣고 나니 왜 제일 중요한 시간인지 알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글을 잘 작성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관련 책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떻게 문장을 작성해야 불필요한 표현 없이 짧고 간결하게 내가 하려는 말을 전달할 수 있는지 공부해야겠다. 

 

 

강의를 듣기 전에는 테크니컬 라이팅이 단순하게 기술 블로그 글쓰기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다 듣고 나니 왜 테크니컬 라이팅이 전체적인 글쓰기에 포함되는지 알게 되었다. 

매끄러운 문장 작성법을 익혀 회사와 기술 블로그에서 읽히기 쉬운 글을 작성하도록 노력해야겠다.

 

 

해당 콘텐츠는 유데미로부터 강의 쿠폰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anott
    anott

    티스토리툴바